창세기 26장은
에서가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한 것이
이삭과 리브가의 마음에 근심이 되었다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왜 이삭은 에서가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도록
내버려 두었을까?
아브라함이 이삭의 아내를 얻어주기 위해
신실한 종 엘리에셀에게 자기 고향으로 가서
이삭의 신부를 찾아 데려오도록 한 것과는 많이 비교가 된다.
아브라함이 정말 하나님의 약속을 신실하게 믿고
말씀대로 살며 이삭에게 좋은 믿음의 유산을 물려주려고
노력하였던 부모였던 반면
이삭에게서는 그런 모습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27장 1절
’이삭이 나이가 많아 눈이 어두워 잘 보지 못하더니
맏아들 에서를 불러 이르되 내 아들아 하매
그가 이르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하니
이삭이 나이가 많아 눈이 어두어졌다는 말은
영적 눈이 어두워졌다는 의미도 포함되어있다.
무엇보다 이삭이 에서를 야곱보다 더 사랑했는데
그 이유가 에서가 사냥한 고기를 좋아해서라고
창세기 25장에서 밝히고 있다.
25장 28절
’이삭은 에서가 사냥한 고기를 좋아하므로
그를 사랑하고 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하였더라‘
27장 4절에서도 같은 내용이 언급된다.
27장 2-4절
’이삭이 이르되 내가 이제 늙어 어느 날 죽을는지 알지 못하니
그런즉 네 기구 곧 화살통과 활을 가지고
들에 가서 나를 위하여 사냥하여
내가 즐기는 별미를 만들어 내게로 가져와서 먹게 하여
내가 죽기 전에 내 마음껏 네게 축복하게 하라‘
25장과 27장의 내용으로 보아 이삭은 먹는 것(육적인 것)에
아주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24장 63절
’이삭이 저물 때에 들에 나가 묵상하다가
눈을 들어 보매 낙타들이 오는지라‘
이때만 해도 이삭은 혼자 조용히 묵상의 시간을 보낼 정도로
하나님과 친밀하게 교제하며 영적인 삶을 살았었는데,
리브가와 결혼을 하고 아들을 낳고 살면서
좀 더 육적인 사람으로 변하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반면 리브가는 에서와 야곱을 임신했을 당시
하나님의 예언의 말씀을 가슴에 계속 품고 살았던 것 같다.
리브가가 야곱을 더 사랑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성경에 나와 있지 않지만
하나님이 해주셨던 말씀 때문이 아니었을까?
25장 23절
’--두 국민이 네 태중에 있구나
두 민족이 네 복중에서부터 나누이리라
이 족속이 저 족속보다 강하겠고 큰 자가 어린 자를 섬기리라‘
그래서 이삭이 에서를 축복하려고 하자
리브가가 인간적인 방법으로
이삭이 야곱을 축복하도록 계략을 꾸민다.
물론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법은 아니었지만
리브가 나름대로는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성취시키기 위한
그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보여진다.
그리고 아마 리브가가 이삭에게도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말해주지 않았을까?
그런데 이삭은 그런 하나님의 말씀을
염두에 두고 살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어쨌든 리브가가 계획한 대로
야곱은 에서인 것처럼 속이고 이삭 앞에 선다.
27장 19-20절
’야곱이 아버지에게 대답하되
나는 아버지의 맏아들 에서로소이다
아버지께서 내게 명하신 대로 내가 하였사오니
원하건대 일어나 앉아서 내가 사냥한 고기를 잡수시고
아버지 마음껏 내게 축복하소서
이삭이 그의 아들에게 이르되
내 아들아 네가 어떻게 이같이 속히 잡았느냐
그가 이르되 아버지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나로 순조롭게 만나게 하셨음이니이다‘
야곱이 거짓말로 아버지를 속이는 이 장면은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즉 아브라함 때로부터 시작된 ’거짓말‘이
이삭을 거쳐 야곱에게까지 이르렀음을 보여 주고 있는것이다.
이후 야곱의 아들들 또한
요셉이 짐승에게 잡아 먹혀 죽었다는 거짓말을 하게 된다.
하나님은 거짓말을 정말 싫어하신다는 것을 나는 잘 알고 있다.
그 의도가 어쨌든 거짓말하고 속이는 것은
사탄들이 하는 짓이며 거짓말은 죄악이라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가로 막는 것은 ’죄’다.
하나님이 우리를 통해 어떤 일을 성취해가고자 하시나
우리가 죄를 지음으로 인해
그 일이 가로막혀서 일의 성취가 지연이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27장 28-29절
’하나님은 하늘의 이슬과 땅의 기름짐이며
풍성한 곡식과 포도주를 네게 주시기를 원하노라
만민이 너를 섬기고 열국이 네게 굴복하리니
네가 형제들의 주가 되고
네 어머니의 아들들이 네게 굴복하며
너를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고
너를 축복하는 자는 복을 받기를 원하노라‘
하나님은 악을 선으로 바꾸시는 분이시다.
이삭과 리브가는 비록 연약하고
하나님의 뜻보다는 자신들의 뜻대로 행했지만
하나님은 그 조차도 선으로 바꾸셔서
자신의 뜻을 반드시 성취해가심을 알 수 있다.
주님!
악조차도 선으로 바꾸어주시는
하나님을 경배하며 찬양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뜻을 이룬다는 명분으로
거짓말하고 속이는 것은 분명히 죄악임을 깨닫게 하소서.
우리 뜻대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나님께 맡길 수 있는 믿음을 허락하여 주소서.
'말씀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31장(라반으로부터 탈출) (0) | 2024.01.18 |
---|---|
창세기 29-30장(레아와 라헬의 출산의 의미) (0) | 2024.01.17 |
창세기 25장(종말을 맞이하는 아브라함) (0) | 2024.01.16 |
창세기 23-24장(신실한 아브라함과 그의 종 엘리에셀) (1) | 2024.01.13 |
창세기 21-22장(아브라함의 회개와 순종) (0) | 2024.01.12 |